[002] 지나치게 예의를 차리느니 차라리 소탈한 것이 낫다

攝勢且莫若退一步以敬人心,點染且莫若減一分以養天機。
故君子與其濫達,不若退潤;與其曲謹,不若疏狂。

섭세천 점염역천 역사심 기계역심 고 군자 여기련달 불약박로 여기곡근 불약소광

📜 원문 (채근담 전집 제106장)

攝勢且莫若退一步以敬人心,點染且莫若減一分以養天機。
故君子與其濫達,不若退潤;與其曲謹,不若疏狂。

※ 당신이 말씀하신 문장을 현대 한자 표현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이 대응됩니다:

음역 원문 대조
섭세천 攝勢且 (권세를 움켜쥐려 하지 말고)
점염역천 點染且 (남을 감화시키려 들지 말고)
역사심 敬人心 (남의 마음을 공경하라)
기계역심 養天機 (하늘의 기운을 기르라)
고 군자 여기련달 불약박로 故 君子 與其 濫達 不若 退潤 (군자는 마구 통하는 것보다 퇴보하며 윤택함을 택한다)
여기곡근 불약소광 與其 曲謹 不若 疏狂 (지나치게 조심스러운 것보다 약간 소탈한 것이 낫다)

📘 해석:

🔹 직역 및 현대어 풀이

  1. 권세를 움켜쥐려 들기보다 한 걸음 물러나 남의 마음을 공경하라.
    → 섭세且莫若退一步以敬人心

  2. 사람을 감화시키려 애쓰기보다 한 걸음 물러서서 자연스런 하늘의 기운을 기르라.
    → 點染且莫若減一分以養天機

  3. 그러므로 군자는 마구 통하려 하기보다 은근히 스며드는 물기처럼 퇴보를 택하고,
    → 故君子與其濫達,不若退潤

  4. 지나치게 조심스럽기보다 약간 소탈하고 자유로운 편이 낫다.
    → 與其曲謹,不若疏狂


🧠 핵심 사상 요약:

덕목 내용
겸손 힘을 행사하기보다는 한 걸음 물러서 공경하고 배려하는 것이 진짜 힘
자연스러움 인위적으로 꾸미거나 감화시키기보다는 자연스러운 기운과 흐름을 기르는 것이 중요
절제와 여유 너무 엄격하고 조심스러운 것보다는 약간 소탈하고 느긋한 삶이 더 지혜롭다

✅ 정리

군자는 억지로 앞서지 않고, 조용히 물러나며 은은한 감화를 남기고,
지나치게 경직되기보다는 조금은 느슨하고 여유롭게 살아간다.

이는 『채근담』이 추구하는 은덕(隱德)과 유연한 삶의 정수를 담고 있는 말입니다.

[001] 한때의 적막을 받을지언정 만고의 처량함을 취하지 말라

恕守道德者,寂寞一時;依阿權勢者,淒涼萬古。
達人觀物外之物,思身後之身,寧守一時之寂寞,毋取萬古之淒涼。

서수도덕자 적막일시 의아권세자 처량만고 달인 관물외지물 사신후지신 영수일시지적막 무취만고지처량

📘 해석:

문장 현대어 풀이
恕守道德者,寂寞一時 도덕을 지키며 사는 사람은 잠시 외롭고 고독할 수 있다.
依阿權勢者,淒涼萬古 권세에 아첨하여 살아가는 사람은 영원히 처참하고 쓸쓸해질 것이다.
達人觀物外之物,思身後之身 통달한 사람은 눈앞의 사물 너머를 보고, 죽은 뒤의 자신을 생각한다.
寧守一時之寂寞,毋取萬古之淒涼 차라리 잠시의 고독을 견디지언정, 영원한 수치를 취하지는 말아야 한다.

🧠 핵심 사상 요약:

개념 설명
일시적 고독 vs. 영원한 수치 도리를 지키는 길은 때로 고독하나, 권세에 굴복하면 평생 마음의 평안을 잃게 된다.
통찰과 사려 눈앞의 이익보다, 인생 전체의 가치와 사후까지 내다보는 통찰이 중요하다.
군자의 자세 군자는 잠시의 외로움을 견디고, 원칙을 지키며, 명예를 보존해야 한다.

📌 오늘날 적용:

  • 권력에 아첨하거나 부도덕한 선택을 피하라.

  • 단기적 외로움은 참고, 장기적 수치를 경계하라.

  • 인생은 길게 보되, 매 순간 도리에 맞게 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