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2] 바람에 흔들리는 등불보다도 불 꺼진 재 속의 불씨가 낫다

好動者運轉風燈,其息者似懸古木;
雖靜雲之守中,猶然匪魚躍其上,
才是有道之深體也。

호동자 운전풍등 기적자 사회고목 수정운지수중 유연비어약기상 재시유도적심체

📖 현대어 해석

“움직이기를 좋아하는 자는 마치 바람 속의 등불과 같고,
멈춰 있는 자는 오래된 고목처럼 보인다.
겉으론 고요하게 중심을 지키는 듯하나,
그 속은 여전히 어지러워 마치 물 위로 물고기가 뛰는 것과 같다.
이런 상태를 벗어나야 비로소 도(道)의 깊은 본체를 이룬 것이다.”


🔍 구절별 해설

구절 해석
好動者運轉風燈 활동적이지만 마음이 산란한 사람은 마치 바람에 흔들리는 등불과 같고,
其息者似懸古木 겉으로만 멈춘 사람은 **묶인 고목(죽은 나무)**처럼 생명력이 없다.
雖靜雲之守中 겉으로는 구름처럼 고요히 중심을 지키는 듯하지만,
猶然匪魚躍其上 속으로는 물 위를 뛰노는 물고기처럼 산란함이 남아 있다.
才是有道之深體也 이런 번잡함을 벗어나야만 비로소 도의 깊은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 철학적 의미

이 문장은 표면적 고요와 진정한 정적(靜)의 차이,
그리고 진짜 수양과 도(道)의 내면화를 구분하는 고도의 수양론적 비유입니다.

  • “바람 속 등불”: 흔들리는 불안정한 정신

  • “매달린 고목”: 정적처럼 보여도 생명력 없는 허위

  • “구름처럼 고요해 보여도 속은 물고기처럼 뛰노는 마음”: 겉고요, 속산란

  • 진짜 도: 내면의 동요마저 없는 고요, 무심(無心)


✅ 핵심 메시지

“진정한 도는 겉의 움직임이나 고요가 아니라,
내면의 산란까지 다스린 고요함에 있다.”


[021] 가정에 참된 부처가 있고 일상생활에 참된 도사가 있다

家庭有箇盡孚,日用有終盡道,
人能誠心和氣,有色婉言,
事父母兄弟間形骸養息,意氣交流,
勝於朝食觀心萬拜矣。

가정유개진불 일용유종진도 인능성심화기 유색완언 사부모형제간 형해양석 의기교류 승어조식관심만배의

📖 현대어 해석

“가정에 믿음이 충만하고,
일상에 도(道)가 끝까지 깃들며,
사람이 성심을 다해 화기애애하고
표정과 말투가 부드럽다면,
부모 형제 사이에 몸과 마음이 함께 오가고,
기운이 서로 통하는 것은
아침 금식하며 마음을 관조하고
만 번 절하는 것보다도 낫다.”


🔍 구절별 풀이

구절 해석
家庭有箇盡孚 가정 안에 **온전히 믿음(신뢰, 성실함)**이 자리 잡고
日用有終盡道 매일의 삶 속에 끝까지 도리를 다하는 실천이 있다면
人能誠心和氣,有色婉言 사람이 성심으로 대하고, 화기롭게 부드러운 표정과 말로 응대하면
事父母兄弟間形骸養息,意氣交流 부모·형제와의 관계에서, 육체적 봉양과 마음의 교류가 함께 이뤄지며
勝於朝食觀心萬拜矣 이는 단지 아침 금식하고 명상하거나 만 번 절하는 것보다 낫다.

🎯 의미 요약

이 문장은 형식적인 종교적 수행보다 진정한 인륜과 일상 속 실천이 더 중요하다는 유가적(儒家的) 핵심 윤리를 담고 있습니다.

항목 설명
가정의 신뢰(孚) 진정한 도(道)는 집안의 성실한 태도에서 시작
일용의 도리 매일의 언행 속에서 도(道)를 실천해야 함
성심과 화기 대인관계는 부드럽고 진실한 태도가 중요
효·우·교감 부모 형제와의 마음과 기운의 통함이 곧 최고의 수행
형식보다 실천 단순한 수행(절·명상)보다 삶 속의 도리 실천이 우위

✅ 핵심 메시지

“도는 집안에서부터 시작된다.
진실한 마음과 따뜻한 말,
부모와 형제 간의 온전한 교감은
만 번 절하는 것보다 귀하다.”

[020]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일하면 귀신도 그를 해칠 수 없다

事事類皆有如浮沈之義者,
偏助物不能欺我,鬼神不能損我。
若業必求滿,功必求盈者,
不生內變,必受外憂。

사사류개유여부진적의사 편조물 불능기아 귀신 불능손아 약업필구만 공필구영자 불생내변 필소외우

📖 현대어 해석

구절 해석
事事類皆有如浮沈之義者 세상 모든 일에는 뜸(浮)과 가라앉음(沈), 성함과 쇠함이 있는 이치가 있다.
偏助物不能欺我,鬼神不能損我 내 마음이 물질이나 외부 상황에 치우치지 않으면,
사람도 속이지 못하고 귀신도 해치지 못한다.
若業必求滿,功必求盈者 만약 일마다 완벽만을 추구하고, 공은 반드시 가득 차야 한다고여긴다면
不生內變,必受外憂 내면의 불안이 생기지 않더라도, 반드시 외부의 걱정이 뒤따르게 된다.

🔍 핵심 주제 해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은 삶의 철학과 처세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1. 세상사는 흥망성쇠가 있다 (浮沈之義)

  • 모든 일은 성함과 쇠함, 오름과 내림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2. 마음이 중심을 잡으면 외부는 해치지 못한다

  • 물질이나 운명(귀신, 환경 등)에 휘둘리지 않으면 외부는 해를 줄 수 없다.

3. 과도한 완벽주의는 화(禍)를 부른다

  • 일을 할 때 항상 꽉 채우고자 하면 내면에 불만과 번민이 생기고,
    결국 외부의 근심과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된다.


✅ 핵심 메시지 요약

“세상만사는 뜨고 가라앉는 이치가 있고,
마음이 바르면 어떤 외물도 나를 해치지 못한다.
그러나 모든 일에 완벽만을 추구하면,
내면이 흔들리고 외부의 재앙이 뒤따른다.”


[019] 명예를 독점하지 말고 부끄러움을 남에게 떠넘기지 말라

完名未絶,不宜獨任;分事與人,可以遠害全身。
欲行無名,不宜專趨;因事歸己,可以圖廣養德。

완명미절 불의독임 분사여인 가이원해전신 욕행오명 불의전추 인사귀기 가이도광양덕

📖 현대어 해석

구절 해석
完名未絶,不宜獨任 자신의 명성이 완전히 확고하지 않다면, 책임을 혼자 떠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分事與人,可以遠害全身 일을 나누어 맡기고 남과 협력하면, 화를 피하고 자신의 몸을 온전히 보전할 수 있다.
欲行無名,不宜專趨 아직 이름(신뢰, 공적 등)이 따르지 않은 일을 혼자 앞서 나가려 해서는 안 된다.
因事歸己,可以圖廣養德 하지만 어떤 일이 스스로에게 돌아온다면, 그 일을 기회 삼아 덕을 넓히는 데 힘써야 한다.

🎯 의미 해설

이 문장은 크게 두 가지 처세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1. 책임과 명성의 균형

  • 명성이 확실히 서지 않았을 때 책임을 독점하는 것은 위험하다.

  • 협업과 권한 분산은 오히려 자신을 지키는 지혜로운 방법이다.

2. 욕심 없는 처신과 덕의 확장

  • 공로나 이름 없는 일에는 먼저 나서지 말고,

  • 자연스럽게 일이 돌아올 때,
    그것을 덕을 기르는 기회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핵심 메시지

“명성이 부족할 땐 나서지 말고,
책임은 나누고, 덕은 키우는 데 집중하라.
욕심으로 달려들면 해를 입고,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르면 덕을 기를 수 있다.”

[018] 세상을 뒤엎을 만큼 큰 공로도 자랑을 하면 허사가 된다

蓋世功勞,當不得一箇矜者;
微賤罪過,當不得一箇悔者。

개세공로 당부득일개긍자 미천죄과 당부득일개회자

📖 현대어 해석

“세상을 뒤덮을 만한 큰 공로라 하여도,
그것 하나로 스스로 교만해져서는 안 되고,
하찮고 미천한 죄과라 하여도,
그것 하나조차도 가볍게 여기고 뉘우치지 않으면 안 된다.”


🔍 구절 풀이

구절 해석
蓋世功勞 세상을 덮을 만큼 크고 위대한 공로라 할지라도
當不得一箇矜者 그것 하나 때문에 스스로 교만해서는 안 된다
微賤罪過 하찮고 미미하며 천한 죄과라 할지라도
當不得一箇悔者 작다고 하여 회개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

🎯 의미 요약

이 문장은 성공한 자의 겸손실수한 자의 진심 어린 반성이라는 두 가지 덕목을 강조합니다:

  • 공이 크다고 교만해선 안 된다 → 겸양의 미덕

  • 죄가 작다고 가볍게 넘겨선 안 된다 → 자기 성찰의 철저함


✅ 핵심 메시지

“공이 커도 자만하지 말고,
죄가 작아도 반드시 뉘우쳐라.
겸손과 참회는 인격의 핵심이다.”

[017] 남을 위하는 것이 곧 나를 위하는 기초가 된다

處世讓一步爲高,退步卽進步之張本;
待人寬一分是福,利人實利己之極基

처세 양일보위고 퇴보 즉진보적장본 대인 관일분시복 이인 실리기적극기

📖 현대어 해석

구절 해석
處世讓一步爲高 세상을 살아가며 한 걸음 양보하는 것이 오히려 높은 도리이다.
退步卽進步之張本 물러섬은 도리어 앞으로 나아감의 밑바탕이 된다.
待人寬一分是福 사람을 대할 때 조금 더 너그럽게 대하는 것이 복이 된다.
利人實利己之極基 남을 이롭게 하는 것이 곧 나를 이롭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바탕이다.

🎯 의미 해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은 동양적 처세철학의 핵심 요소를 담고 있습니다:

항목 설명
讓一步為高 경쟁보다는 양보 속에 품격이 있고, 고결한 인품이 드러남
退步是進步張本 단기적으로는 손해처럼 보여도, 그것이 오히려 장기적 이익의 시작
寬容之福 타인을 너그럽게 대하는 것은 곧 자신에게 복이 됨
利他即利己 유교·불교적 핵심 사상: 이타는 결국 궁극적 이기

✅ 핵심 메시지 요약

“양보는 고결함이고, 물러섬은 진보의 시작이며,
너그러움은 복을 부르고, 남에게 베품은 결국 나에게 돌아온다.”


[016] 즐김은 분수를 넘지 말고 노력은 분수를 줄이지 말라

總理無擧人前,德業無樂人後,修省無有分外,隨位無敢分中。

총리 무거인전 덕업 무락인후 수향 무유분외 수위 무감분중

📖 현대어 해석

구절 풀이
總理無擧人前 일을 총괄하거나 지도하는 자는 공적을 남보다 앞세우려 하지 말고,
德業無樂人後 덕과 공로는 남 뒤에 머물기를 즐기지 말라.겸손을 가장하지 말라는 뜻도 있음
修省無有分外 자기 수양과 반성은 ‘내 일 아니다’ 하고 피하지 말고,
隨位無敢分中 맡은 자리에서는 마땅한 도리를 감히 줄이지 말라.

🔍 종합 해석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은 남보다 앞서려 하지 말고,
덕과 업적은 감추기보다 바르게 드러내야 하며,
자기반성은 누구의 일이든 내 일처럼 하고,
자리에 따라 해야 할 도리는 줄이지 말고 감당해야 한다.”


🎯 의미 요약

이 문장은 공직자·지도자·학자 등 도리를 따르는 이들이 갖추어야 할 4가지 태도를 말합니다:

항목 설명
겸양(謙讓) 공로를 앞세우지 말되, 억지로 숨기지도 말라
성실(誠實) 덕업은 분명히 하되 꾸밈 없이
자기성찰(修省) 어떤 일이든 스스로 돌아보며 예외 없이 수양하라
책임감(責任) 직책에 걸맞는 일을 줄이거나 피하지 말라

✅ 핵심 메시지

“앞에 나서지 말되 할 일은 줄이지 말고,
덕은 감추지 말되 자랑하지도 말며,
자기 일 아닌 일에도 수양하듯 임하라.”

[015] 친구를 사귐에는 반드시 의협심을 가져야 한다

交友 須帶三分狹氣,作人 要存一點傻心。

교우 수대삼분협기 작인 요존일점소심

📖 현대어 해석

“친구를 사귈 때는 삼분 정도의 거리감(조심스러움)을 두어야 하고,
사람으로 살아갈 때는 약간의 어리숙함(순진함)을 간직해야 한다.”


🔍 구절 풀이

구절 해석
交友 須帶三分狹氣 친구를 사귈 때는 너무 허물없이 하지 말고, 약간의 조심성거리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作人 要存一點傻心 사람됨에 있어서는 너무 계산적이지 말고, 약간 순진하고 어리숙한 구석을 지니는 것이 덕이 된다

🎯 의미 요약

  • 인간관계는 무조건적인 친밀함보다 적당한 긴장감과 예의가 필요하고,

  •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는 **너무 영리하거나 셈이 빠르기보다, 약간의 바보스러움(선한 순진함)**이 오히려 덕이 된다는 뜻입니다.


✅ 핵심 메시지

“사람을 사귈 땐 경계심을,
삶을 살아갈 땐 순진한 마음을 간직하라.”


🧠 철학적 배경

  • 유가적 처세관과 노장(老莊)의 무위지심이 절묘하게 결합된 메시지입니다.

  • “지혜로운 둔함(大智若愚)”, 즉 **”크게 지혜로운 이는 겉으로는 어리숙해 보인다”**는 전통적 미덕과도 일맥상통합니다.

[014] 물욕에 사로잡히면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

作人無心高遠事業,破脫得俗情,便入名流;
爲學無心增益工夫,感際得物累,便草成經。

작인 무심고원사업 파탈득속정 변입명류 위학 무심증익공부 감제득물루 변초성경

📖 문장별 해석

1. 作人無心高遠事業,破脫得俗情,便入名流。

  • 작인(作人): 사람됨을 이루는 것, 인격 수양

  • 무심고원사업(無心高遠事業): 고상하고 거창한 이상(高遠事業)을 애써 마음에 둘 필요는 없다

  • 파탈득속정(破脫得俗情): 도리어 **세속적 감정(속정)**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 변입명류(便入名流): 그렇게 하면 자연스레 명망 있는 인물의 반열에 들 수 있다

요약 해석:

“사람이 되려거든 너무 이상적인 큰 뜻만 품으려 하지 말고,
세속의 정에 얽매이지 않도록 마음을 다스려라.
그러면 자연히 인격을 갖춘 명사(名士)가 될 수 있다.”


2. 爲學無心增益工夫,感際得物累,便草成經。

  • 위학(爲學): 학문을 닦는다는 것

  • 무심증익공부(無心增益工夫): 인위적으로 실력을 키우려 애쓰지 말고

  • 감제득물루(感際得物累): 인연과 상황 속에서 마주친 사물과 체험을 통해 자연히 쌓여가는 것을 받아들이면

  • 변초성경(便草成經): 그것이 곧 경전을 이룬 것과 같은 깊은 학문이 된다

요약 해석:

“학문이란 억지로 노력한다고 깊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매 순간 삶의 감응과 사물에서 배우는 것을 쌓아가다 보면,
그 자체로 깊은 경지에 이른다.”


🎯 전체 핵심 메시지

“인생도 학문도 억지로 위대함을 추구하지 말고,
자연스럽고 진실된 마음가짐과 체험의 축적 속에서 깊이를 이뤄라.”


✍️ 스타일 요약

요소 내용
문체 한문 문언체 (고전 격언 형식)
주제 인격 수양, 수신(修身), 학문 수행법
핵심어 無心, 破俗情, 感際, 草成經 (무심·탈속·감응·축적)

🌿 현대적 활용 예시

  • 수험생·수양자·연구자에게:
    억지 목표보다 ‘과정의 진실함’을 중시하라

  • 리더·교육자에게:
    명망은 조급하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세속에서 벗어난 진정성’에서 비롯된다


[013] 좁은 길에서 한 걸음 물러나는 것은 가장 좋은 처세이다

經路着處 惟一步如人行
自微濃跡 感三分養人氣
此是攝世一極安樂法

경로착처 유일보 여인행 자미농적 감삼분 양인기 차시섭세 일극안락법

📖 현대어 해석

“도리를 따르며 걸어가는 데 있어서는 한 걸음 한 걸음이 실로 사람답게 행해져야 하며,
비록 그 흔적이 미약할지라도 점차 깊어지고,
그 가운데 자분한 감동과 온화한 기운을 길러내게 된다.
이것이 세상을 다스리는 지극히 평안하고 즐거운 방법이다.”


🔍 구절별 상세 풀이

구절 해석
經路着處 惟一步如人行 도리(經路)를 따르는 길 위에서는 단 한 걸음도 사람이 걷듯이 조심하고 진실하게 걸어야 한다.
自微濃跡 感三分養人氣 비록 작은 실천이더라도 점점 깊은 자취를 남기고,
그 가운데 감동과 따뜻한 기운이 서서히 길러진다.
此是攝世一極安樂法 이러한 행실이야말로 세상을 조화롭게 다스리고 사람을 편안하게 하는 가장 지극한 방법이다.

🎯 의미 요약

이 문장은 도덕적 삶의 태도와 사회적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설파하는 내용입니다:

  1. 한 걸음, 한 걸음을 바르게 걷는 것이 중요하며,

  2. 미미해 보이는 선한 실천도 누적되면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3. 결국 이것이 세상을 안정시키고 사람을 편안하게 하는 최상의 방식이다.


✅ 핵심 메시지

“작은 선이라도 진실되게 실천하고 축적한다면, 그것이 세상을 다스리는 가장 근본적인 평화의 방법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