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
識衆寡之用者勝,
上下同欲者勝,
以虞待不虞者勝,
將能而君不御者勝。
지가이전여불가이전자승 식중마지용자승 상하동욕자승 이우대불우자승 승장능이군불어자승
📖 해석:
1. 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
→ 싸울 수 있는 때와 싸워서는 안 되는 때를 아는 자가 이긴다.
2. 識衆寡之用者勝
→ 병력의 많고 적음을 운용할 줄 아는 자가 이긴다.
(즉, 병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적절히 운용할 줄 아는 자)
3. 上下同欲者勝
→ 상하가 같은 뜻을 품고 일치된 마음을 가진 자가 이긴다.
4. 以虞待不虞者勝
→ 준비된 자가 준비되지 않은 자를 기다리면 이긴다.
(기습보다도, 철저한 준비와 대비가 승리를 부른다는 뜻)
5. 將能而君不御者勝
→ 장수가 유능한데 군주가 간섭하지 않는다면 이긴다.
💬 현대어 의역:
“싸울 수 있을 때와 없을 때를 아는 자가 이기고,
병력의 많고 적음을 적절히 운용할 줄 아는 자가 이기며,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마음을 함께한 자가 이기고,
준비된 자가 준비되지 않은 자를 기다릴 줄 아는 자가 이기며,
유능한 장수가 군주의 간섭 없이 전권을 행사할 수 있을 때 그 군대는 이긴다.”
🧠 전략적 의미:
이 구절은 손자병법의 가장 실용적인 “5가지 승리 조건”을 설명한 것입니다. 각 조건은 실제로 리더십, 조직운영, 기업 전략, 군사 작전 등에 모두 적용 가능합니다.
조건 | 핵심 의미 | 현대 응용 예 |
---|---|---|
전쟁의 판단 | 싸워야 할 때와 피해야 할 때 구별 | 전략적 타이밍 |
병력 운용 | 인원 차이를 극복하는 효율적 배치 | 자원관리 능력 |
상하 일체 | 조직 내 소통과 공동 목표 | 팀워크와 기업문화 |
사전 준비 | 위기 대응과 리스크 관리 | 준비된 경영자 |
장수 존중 | 자율성과 위임 | 위임형 리더십 |
📚 요약:
이 문장은 손자의 전쟁 철학 중 “무작정 싸우는 것이 아니라, 이길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결국 지혜와 준비, 내부 통일, 리더십 존중이 있어야 전쟁이든 사업이든 승리할 수 있다는 전략 원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