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형] 공격뿐만 아니라 수비도 주도적으로 하라

不可勝者守也;可勝者攻也。守則不足,攻則有餘。

불가승자 수야;가승자 공야。수즉부족,공즉유여。

🈶 한자 해석:

  • 不可勝者 守也: 이길 수 없는 자는 수비(방어)를 한다.

  • 可勝者 攻也: 이길 수 있는 자는 공격한다.

  • 守則不足: 수비는 (상대적으로) 부족할 때 한다.

  • 攻則有餘: 공격은 (힘이) 남을 때 한다.


🔍 한국어 번역 (직역):

“승리할 수 없는 자는 수비하고, 승리할 수 있는 자는 공격한다. 수비는 부족할 때 하고, 공격은 여유 있을 때 한다.”


💡 의역 및 해설:

  • “수비는 패하지 않기 위해서이고, 공격은 승리를 확실히 하기 위한 것이다.”

  • 즉, 실력이 모자라면 방어로 버티고,
    여유가 있을 때 공격해 승리를 가져가라는 의미입니다.

  • 손자는 언제나 방어적 태세로 지지 않음을 우선시하며,
    공격은 반드시 승기를 잡았을 때에만 실행하라고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