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 집단 응집력을 중심으로 비교하라

一曰道,二曰天,三曰地,四曰將,五曰法

일왈도 이왈천 삼왈지 사왈장 오왈법

📘 한자 해석:

항목 한자 해석
一曰 道 일왈 도 첫째는 ‘도’다
二曰 天 이왈 천 둘째는 ‘천’이다
三曰 地 삼왈 지 셋째는 ‘지’다
四曰 將 사왈 장 넷째는 ‘장’이다
五曰 法 오왈 법 다섯째는 ‘법’이다

🧠 의미 요약 (손자병법의 ‘오사(五事)’ 개념):

  1. 道 (도)
    민심(民心), 군주와 백성의 일체감
    → 백성들이 지도자를 믿고 한마음으로 죽고 살기를 함께 하려는 것

  2. 天 (천)
    천시(天時), 날씨와 시간
    → 기후, 계절, 낮과 밤, 더위와 추위 같은 환경적 요인

  3. 地 (지)
    지형(地形)
    → 거리, 험한 곳, 평지, 좁고 넓은 곳 등 작전 지형의 유불리

  4. 將 (장)
    장수의 자질
    → 지혜(智), 신의(信), 인(仁), 용기(勇), 엄격함(嚴) 등

  5. 法 (법)
    군의 조직과 법도
    → 병력 조직, 통솔 방식, 상벌 기준 등 군사 규율과 행정 시스템


📌 전체 해석:

전쟁을 논할 때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는
**첫째 도(道), 둘째 천(天), 셋째 지(地), 넷째 장(將), 다섯째 법(法)**이다.
이 다섯 요소는 전쟁의 승패를 가늠하는 핵심 기준이다.

[시계] 전쟁은 집단심리의 대결이다

經之以五事,校之以七計,而索其情

경지이오사 교지이칠계 이색기정

📘 해석:

  • 경지이오사(經之以五事)
    → 다섯 가지 일로써 그것을 다스리고
    → 전쟁의 승패를 판단하기 위해 다섯 가지 요소(五事) 로 분석함
    → 오사(五事): 도(道), 천(天), 지(地), 장(將), 법(法)

  • 교지이칠계(校之以七計)
    → 일곱 가지 계책으로 그것을 비교하며
    칠계(七計) 를 통해 적과 우리를 비교 분석함
    → 예: 누가 더 도(道)를 갖추었는가, 누가 더 유능한가, 누가 더 엄정한가 등

  • 이색기정(而索其情)
    → 그 실상을 찾아낸다
    → 이 과정을 통해 전쟁의 실제 형세와 가능성을 파악함


🧠 전체 해석:

전쟁을 다섯 가지 요소로써 계획하고, 일곱 가지 계책으로 비교한 후, 그 실상을 분석해야 한다.


🧩 참고 – 손자병법 ‘모공편’에서의 오사(五事)와 칠계(七計):

✅ 오사 (五事):

  1. 도(道) – 백성의 마음을 하나로 묶는 도리

  2. 천(天) – 날씨와 계절

  3. 지(地) – 지형, 거리, 지세

  4. 장(將) – 장수의 능력

  5. 법(法) – 군제와 규율

✅ 칠계 (七計):

  1. 누가 도(道)를 따르고 있는가

  2. 누가 장군으로 유능한가

  3. 누가 지형을 잘 이용하는가

  4. 누가 규율이 엄격한가

  5. 누가 군사가 강한가

  6. 누가 훈련이 잘 되어 있는가

  7. 누가 상벌이 명확한가


이 구절은 전략적 판단을 위한 분석 틀을 제시하는 핵심 문장으로, 손자병법의 전쟁 철학을 잘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시계] 습관으로 싸우지 마라

國之大事,生死之地,存亡之道,不可不察也

국지대사 사생지지 존망지도 불가불찰야

📘 해석:

  • 국지대사(國之大事)
    → 나라의 가장 큰 일, 즉 중요한 일.
    → 주로 전쟁을 의미함.

  • 사생지지(死生之地)
    → 생과 사가 갈리는 장소.
    → 전쟁터 또는 매우 중요한 국면.

  • 존망지도(存亡之道)
    → 나라의 존속과 멸망이 걸린 길.
    → 생존과 멸망을 가르는 관건.

  • 불가불찰야(不可不察也)
    → 반드시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 철저히 고려하고 관찰해야 한다.


🧠 전체 해석:

전쟁은 나라의 중대한 일로, 백성의 생사와 국가의 존망이 걸린 문제이니 반드시 깊이 살펴야 한다.


이 표현은 『손자병법』 서(序) 혹은 작전편(作戰篇) 등 초반부에서 나오는 말로, 전쟁이나 국사에 대한 진중함과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