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실] 아군은 국지전 적국은 전면전이 되게 하라

無所不備,則無所不寡。寡者備人者也,衆者使人備己者也

무소불비 즉무소불과, 과자비인자야, 중자사인비기자야

🈶 한자 해석:

구절 의미
無所不備 모든 곳을 빠짐없이 방비하면
則無所不寡 모든 곳에서 병력이 부족해진다
寡者備人者也 병력이 부족한 쪽은 남(적)을 방비하려는 자이고
衆者使人備己者也 병력이 많은 쪽은 오히려 적이 자기를 방비하게 만든 자이다

🔍 직역:

“모든 곳을 방비하면, 모든 곳이 병력 부족해진다.
병력이 부족한 쪽은 상대를 방어하려는 자이고,
병력이 많은 쪽은 상대가 자신을 방어하게 만든 자이다.”


💡 의역:

“모든 가능성을 대비하려 하면, 결국 어디에도 충분한 병력이 없다.
병력이 부족한 자는 적의 움직임에 끌려다니는 자이고,
병력이 넉넉한 자는 적이 자신의 움직임을 막느라 분산된 경우다.”


📚 해설:

이 구절은 손자병법의 주도권 이론병력 집중의 원리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 “무소불비”: 모든 곳을 지키려고 함 → 전략적 분산

  • “무소불과”: 그래서 결국 모든 곳이 병력 부족해짐

  • “과자 비인자”: 병력이 모자라는 쪽은 상대방을 대비하느라 병력을 나눈 쪽

  • “중자 사인비기자”: 병력이 많은 쪽은 오히려 적이 자신을 방비하도록 만든 쪽 → 즉, 공격의 주도권을 가진 자

📌 핵심 전략:

“방어에 끌려다니면 병력이 분산되고 약해진다.
반대로 공격의 주도권을 쥐면 적이 분산되므로, 나는 집중할 수 있다.”

👉 결국 전쟁에서 이기는 자는 병력의 우위가 아니라, 형세(勢)와 주도권을 가진 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