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攻者,敵不知其所守;先守者,敵不知其所攻
선공자 적부지기소수, 선수자 적부지기소공
🈶 해석:
구절 | 뜻 |
---|---|
先攻者,敵不知其所守 | 먼저 공격하면, 적은 어디를 방어해야 할지 모른다 |
先守者,敵不知其所攻 | 먼저 수비하면, 적은 어디를 공격해야 할지 모른다 |
(정확한 의미는 아래 의역 참고)
💡 의역:
“공격을 잘하는 자는 적으로 하여금 어디를 지켜야 할지 알 수 없게 만들고,
수비를 잘하는 자는 적으로 하여금 어디를 공격해야 할지 알 수 없게 만든다.”
📚 해설:
이 구절은 손자의 “형(形)”과 “무형(無形)”, 즉 은폐와 혼란의 전략을 설명합니다.
-
공격 시: 병력의 방향, 목표, 시기를 숨겨서 적의 방어를 무력화
-
방어 시: 진영, 병력의 의도를 감춰 적의 공격 방향을 잃게 함
📌 핵심 전략:
“보이지 않게 하고, 예측하지 못하게 하라”
**무형의 병법(無形兵法)**을 통해 적의 판단을 흐리게 만들고,
내가 원하는 전황을 조성하라는 것이 손자의 메시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