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전] 사기가 꺽이면 공격받는다

不遯兵左譽 屈力彈禍 則諸侯勝己 敝而利之

부둔병좌예 굴력탄화 즉제후승기폐이기

📘 단어별 해석:

  • 不遯兵左譽 (부둔병좌예)
    → 병력을 숨기지 않고(退軍하거나 위장하지 않고),
    → 허울뿐인 명예를 좇는다면

  • 屈力彈禍 (굴력탄화)
    → 억지로 힘을 쓰다 화를 부른다
    → (무리한 전투로 재앙을 자초한다는 의미)

  • 則諸侯勝己 (즉제후승기)
    → 그러면 제후(다른 세력)들이 나를 이기게 되고

  • 敝而利之 (폐이리지)
    → 나는 쇠약해지고, 그들이 그로 인해 이득을 얻는다


🧠 전체 해석:

병력을 숨기지 않고 허울뿐인 명예를 좇으며, 무리하게 힘을 쓰다 화를 부르면,
결국 제후들이 나를 이기고, 나는 쇠약해져 그들에게 이익을 주게 된다.


📌 전략적 의미:

  • 무리한 명예 추구 금물: 겉으로 보이는 체면이나 명성을 위해 억지로 싸우면 패배한다.

  • 병력은 숨기고 기세를 조절해야: 필요할 땐 퇴각하거나 속이는 것도 전략이다.

  • 외부 세력에게 빈틈을 보이지 말라: 내부가 약해지면 외부(제후/경쟁국)가 이득을 본다.


📚 손자병법의 핵심 사상과 일치:

  • “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 – 싸워야 할 때와 피해야 할 때를 아는 자가 이긴다.

  • “能而示之不能” – 실제로는 능해도, 상대에겐 무능한 척하라.

  • “勝兵先勝而後求戰” – 이긴 뒤에야 싸움을 시작하라 (기세가 먼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