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 주도권은 동조현상을 일으키는 형세다

計利以聽,乃爲之勢,以佐其外,勢者,因利而制權也

계리이청 내위지세 이좌기외 세자 인리아제권야

📘 한자 독음 및 해석:

  1. 計利以聽 (계리이청)
    → 이익을 따져 계획을 세운 뒤, 그것이 옳다고 판단되면 받아들인다.
    전쟁은 이익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며, 승산이 있어야 움직인다.

  2. 乃爲之勢 (내위지세)
    → 그런 다음 형세를 만든다.
    형세(勢, 전세·기세)를 조성해야 한다.

  3. 以佐其外 (이좌기외)
    → 외적인 요소를 보조하게 한다.
    형세는 외부 전술과 병력을 보조하는 수단이다.

  4. 勢者 因利而制權也 (세자 인리아제권야)
    → 형세란, 이익을 바탕으로 권(權, 유동적 전략)을 제어하는 것이다.
    기세(형세)는 유리한 조건을 활용하여 전쟁의 주도권을 쥐는 기술이다.


🧠 전체 현대어 해석:

전쟁은 이익을 따져 판단한 뒤 실행해야 하며, 그다음에는 형세를 만들어 외적 작전을 보조해야 한다.
이 형세란 유리한 조건을 바탕으로 상황의 주도권을 쥐는 기술이다.


📌 핵심 개념:

  • 利(이): 전쟁의 목적과 이익

  • 勢(세): 유리한 형세, 전황의 주도권

  • 權(권): 유동적이고 임기응변적인 판단과 결정력

손자는 **”형세를 만들되, 이익을 바탕으로 권을 행사하라”**고 강조함으로써, 고정된 방식이 아닌 상황에 따라 변화를 주는 전략적 유연성을 중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