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則圍之,五則攻之,倍則分之,敵則能戰之,少則能逃之,不若則能避之。
십즉위지 오즉공지 배즉분지 적즉능전지 소즉능도지 불약즉능피지
📖 해석:
-
十則圍之
→ 우리가 적보다 열 배 많으면 포위하라. -
五則攻之
→ 다섯 배 많으면 공격하라. -
倍則分之
→ 두 배면 적을 분산시켜라. -
敵則能戰之
→ 병력이 같으면 능히 싸울 수는 있다. -
少則能逃之
→ 우리가 적보다 적으면 피할 수 있어야 한다. -
不若則能避之
→ 상대가 더 강하면 피해야 한다.
💬 현대어 의역:
“적보다 열 배 많으면 포위하고,
다섯 배면 공격하고,
두 배면 나눠서 대응하고,
같으면 싸우고,
적으면 피하고,
형세가 못 미치면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 전략적 해설:
이 구절은 손자의 ‘형세론(形勢論)’, 즉 전쟁에서 상황에 따라 전략이 달라져야 함을 강조합니다.
-
손자는 단순히 용맹하게 싸우는 것을 중요시하지 않았고,
승산이 있는 상황에서만 싸우고, 그렇지 않으면 피하거나 우회하라는 유연한 전쟁관을 보여줍니다. -
이는 곧 병력의 수량뿐 아니라, 판단과 타이밍, 전략 운용의 융통성을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 응용:
이 원칙은 군사뿐만 아니라 경영 전략, 경쟁 분석, 협상 전술, 인간관계 등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
예:
-
열세일 때 무리하게 정면 대응하지 마라.
-
형세가 우세할 때만 정면 승부하라.
-
유리한 조건일 때만 싸우고, 불리하면 과감히 피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