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공] 군주와 장수의 역할 효율성

國之寶也,保主則國必強,保局則國必弱。

국지보야 보주즉국필강 보극즉국필약

📖 해석:

  • 國之寶也
    나라의 보배란, (국가를 지탱하는 중요한 원칙은)

  • 保主則國必強
    근본(主)을 지키면 나라는 반드시 강해지고,

  • 保局則國必弱
    지엽(局, 말단적 이익)만 지키면 나라는 반드시 약해진다.


💬 현대어 의역:

“국가의 보배는 그 근본을 지키는 데 있다.
본질을 지키면 국가는 반드시 강성해지고,
말단적인 이익만 고수하면 국가는 반드시 쇠약해진다.”


🧠 해설:

  • **“保主”**는 근본(根本), 도리, 원칙, 중심 가치를 지킨다는 뜻이며

  • **“保局”**은 일시적인 형세, 작은 계산, 외형적 구도에만 집착한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이러한 대조는 국가 운영뿐 아니라 개인의 삶, 조직 운영, 경영 전략 등에도 적용됩니다:

구분 보주(保主) 보국(保局)
의미 본질과 원칙 중심 형세·기교 중심
결과 장기적 강성, 지속성 단기적 이익, 장기적 쇠약
예시 도덕, 민심, 법치 권모술수, 외형 유지, 임기응변

📚 관련 고사/명언:

  • 本立而道生,本末倒置 (근본이 서야 도가 생기고, 근본과 말단이 바뀌면 혼란이 온다 – 『논어』)

  • 國無道不興,家無德不立 (나라에 도가 없으면 흥하지 못하고, 집에 덕이 없으면 서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