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獲罪於天,無所禱也。
자왈 획죄어천 무소도야
📖 현대어 해석
공자가 말씀하시길:
“하늘에 죄를 지으면, 빌 곳이 없다.”
🔍 구절 풀이
구절 | 해석 |
---|---|
獲罪於天(획죄어천) | 하늘(天)에 죄를 지으면 |
無所禱也(무소도야) | 아무리 빌어도 소용이 없다 / 빌 곳조차 없다 |
🧠 철학적 의미
이 말은 유교적 세계관에서 하늘(天)은 단지 자연적 존재가 아닌 도덕적 질서와 정의의 근원이라는 믿음에 기반한 것입니다.
-
‘하늘’ = 도(道), 천리(天理), 자연의 법칙이자 윤리적 기준
-
사람은 도리에 맞게 살아야 하며, 그 도리를 어기고 하늘(천리)에 죄를 지으면 아무도 그 죄를 덮어줄 수 없다는 뜻입니다.
즉, 인간의 죄가 천리를 어겼을 때는 어떤 제사나 기도, 변명도 통하지 않는다는 도덕적 경고입니다.
✅ 핵심 메시지
“하늘(도리)에 죄를 짓는다면, 어떤 신에게 빌어도 용서받을 수 없다.
그러니 처음부터 바른 길을 지켜야 한다.”
📌 관련 고사 / 유사 문장
-
「天理昭昭,疏而不漏」 – 하늘의 이치는 밝고, 성긴 듯하지만 빠뜨리지 않는다.
-
「惡貫滿盈,天必誅之」 – 악이 차고 넘치면 하늘은 반드시 벌한다.
-
「順天者存,逆天者亡」 – 하늘에 순응하는 자는 살고, 거스르는 자는 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