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명편] 콩 심은데 콩 난다

種瓜得瓜,種豆得豆,天網恢恢,疏而不漏。

종과득과 종두득두 천망회회 소이불루

📖 현대어 해석

“오이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콩을 심으면 콩을 얻는다.
하늘의 그물은 크고 성글지만 결코 빠지지 않는다.”


🔍 구절별 풀이

구절 의미
種瓜得瓜 오이를 심으면 오이를 거둔다 → 선악이든, 무엇을 하든 그 결과는 반드시 따른다
種豆得豆 콩을 심으면 콩을 거둔다 →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
天網恢恢 하늘의 그물은 크고 넓다 (天網: 하늘의 이치, 천리)
疏而不漏 성긴 듯 보이지만 절대로 놓치지 않는다도덕적 응보는 반드시 실현된다

🧠 철학적 배경

  • 도가사상에서 ‘천망(天網)’은 **보이지 않는 천리(하늘의 이치)**를 의미합니다.

  • 『노자』 73장에 등장하며, 모든 행위는 도(道)에 따라 반응을 불러온다는 원리를 나타냅니다.

  • 자연은 사람처럼 즉시 응징하지 않지만, 결과는 반드시 온다는 느리지만 정확한 응보 철학.


✅ 핵심 메시지

“심은 대로 거둔다.
하늘의 이치는 아무리 성글어 보여도
결국 누구도 빠져나갈 수 없다.”


✍️ 현대적 적용

  • 윤리적 경고: 비밀스럽고 교묘하게 감춘 악행이라도 언젠가는 드러난다

  • 자기 책임 강조: 자신의 말과 행동은 모두 결과로 돌아온다

  • 조직·사회 경영: 정의롭고 일관된 도덕 원칙의 필요성 강조


📌 관련 표현

  • 「惡貫滿盈 天必誅之」 — 악이 차고 넘치면 하늘이 반드시 벌한다 (《서경》)

  • 「天理昭昭」 — 하늘의 이치는 밝고 명확하다

  • 「人間事語 天聽若雷」 — 인간의 말도 하늘은 천둥처럼 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