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日行善,福雖未至,禍自遠矣;一日行惡,禍雖未至,福自遠矣。
行善之人,如春園之草,不見其長,日有所增;
行惡之人,如磨刀之石,不見其損,日有所虧。
일일행선 복수미지 화자원의 일일행악 화수미지 복자원의 행선지인 여춘원지초 불견기장 일유소증 행악지인 여마도지석 불견기손 일유소휴
📖 해석:
🔹 1. 인과의 시작
-
一日行善,福雖未至,禍自遠矣
→ 하루 선을 행하면, 비록 복은 아직 오지 않았더라도 재앙은 이미 멀어진다. -
一日行惡,禍雖未至,福自遠矣
→ 하루 악을 행하면, 비록 재앙은 아직 오지 않았더라도 복은 이미 멀어진다.
🔹 2. 선인의 결과 (행선지인)
-
行善之人,如春園之草
→ 선을 행하는 사람은 마치 봄날의 동산의 풀과 같아 -
不見其長,日有所增
→ 자라는 것이 눈에는 보이지 않아도, 날마다 자라난다.
🔹 3. 악인의 결과 (행악지인)
-
行惡之人,如磨刀之石
→ 악을 행하는 사람은 마치 칼 가는 숫돌과 같아 -
不見其損,日有所虧
→ 닳는 것이 눈에는 보이지 않아도, 날마다 줄어든다.
💬 현대어 의역:
“하루 선을 행하면 복이 아직 오지 않더라도 화는 멀어지고,
하루 악을 행하면 화가 아직 오지 않더라도 복은 이미 떠난다.
선을 행하는 사람은 봄 동산의 풀처럼 눈에 띄진 않지만 매일 자라고,
악을 행하는 사람은 숫돌처럼 겉으론 멀쩡하지만 조금씩 닳아간다.”
🧠 교훈 및 의미:
-
선(善)은 서서히 복을 부르고,
-
악(惡)은 천천히 재앙을 불러들인다.
-
중요한 건 즉각적인 결과가 없더라도, 모든 행위는 누적되어 반드시 형상(形象)과 운명에 반영된다는 인과응보의 진리를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