長宗勅后主曰:『毋以善小而不為,毋以惡小而為之。
한소열 장종 칙후주왈 물이선소이불위 물이악소이위지
🔍 해석:
-
韓嗣曰
→ 한소(韓嗣)가 말하였다. -
長宗勅后主曰
→ 장종(長宗, 즉 당나라 황제)이 후주(황후나 후계자)에게 훈계하여 말하였다. -
毋以善小而不為
→ 작은 선이라고 해서 하지 말라 하지 말라
→ (선한 일이 아무리 작더라도 반드시 행하라) -
毋以惡小而為之
→ 작은 악이라고 해서 행하지 말라 하지 말라
→ (악한 일이 아무리 작더라도 반드시 피하라)
💬 풀이:
이 문장은 중국 고대의 중요한 도덕 경구로, 주로 군왕이나 지식인들에게 전해지던 교훈입니다.
-
작은 선은 무시되기 쉽지만, 쌓이면 큰 덕이 되고
-
작은 악은 가벼워 보이지만, 누적되면 큰 해악이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유사 표현:
-
『積善之家必有餘慶,積不善之家必有餘殃』
→ “선을 쌓은 집에는 반드시 경사가 있고, 악을 쌓은 집에는 반드시 재앙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