父在,觀其志;父沒,觀其行;三年無改於父之道,可謂孝矣。
부재 판기지 부몰 관기행 삼년무개어부지도 가위효의
📘 문장 분석 및 해석
원문 구절 | 한자 독음 | 현대어 해석 |
---|---|---|
父在,觀其志 | 부재 판기지 | 아버지가 살아 계실 때는 그 사람의 뜻을 살핀다 |
父沒,觀其行 | 부몰 관기행 |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는 그 사람의 행동을 살핀다 |
三年無改於父之道 | 삼년무개어부지도 | 3년 동안 아버지의 가르침을 바꾸지 않는다면 |
可謂孝矣 | 가위효의 | 진정으로 효도한다고 할 수 있다 |
🧠 전체 현대어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부모가 살아 계실 때는 그 사람의 뜻(志)을 살피고,
부모가 돌아가신 뒤에는 그 사람의 행실(行)을 살핀다.
부친이 세상을 떠난 뒤 3년 동안 그 가르침과 방식을 고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참으로 효도하는 자라고 할 수 있다.”
📌 해설 및 핵심 사상
-
**효(孝)**는 단순히 부모를 봉양하는 데 그치지 않고,
부모의 뜻과 삶을 계승하고 존중하는 것까지 포함함 -
3년은 중국 고대 사회에서 최상의 상(喪) 기간, 즉 부모를 애도하고 삶을 정비하는 상징적 기간
-
행동으로 보이는 효: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도 그 가르침을 실천함으로써 진정한 효심을 드러낸다는 유가적 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