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이] 행동할때 세가지 잣대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 한자 해석:

구절 해석
吾日三省吾身 (오일삼성오신) 나는 하루에 세 번 내 자신을 반성한다
爲人謀而不忠乎 (위인모이불충호) 남을 위해 일을 꾀하면서 충성을 다하지 않았는가?
與朋友交而不信乎 (여붕우교이불신호) 친구와 사귀면서 성실하지 않았는가?
傳不習乎 (전불습호) 배운 것을 제대로 익히지 않았는가?

🧠 현대어 해석:

증자가 말하였다:
“나는 날마다 세 번 내 자신을 반성한다.
남을 위해 일을 하면서 충성을 다했는가?
친구와의 사귐에서 신의를 지켰는가?
스승에게서 배운 것을 익히고 실천했는가?”


📌 핵심 사상 요약:

  • 반성(省): 군자(君子)는 자기를 수시로 돌아보고 반성해야 한다.

  • 충(忠): 남을 위해 진심을 다했는가?

  • 신(信): 친구 관계에서 신뢰를 저버리지 않았는가?

  • 습(習): 배운 것을 반복하여 체득했는가?


✅ 오늘날의 교훈:

진정한 배움과 인격은 반성과 실천에서 비롯된다.
군자는 지식보다 **성찰(자기점검)**과 도덕적 실천을 중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