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貢曰:「《詩》云:『如切如磋,如琢如磨。』其斯之謂與?」
子曰:「賜也,始可與言《詩》已矣!告諸往而知來者也。」
사야시가여언 시이의 고제왕이지래자
📘 구절 해석
원문 구절 | 독음 | 현대어 해석 |
---|---|---|
賜也,始可與言詩已矣! | 사야 시가여언 시이의 | “자공이여, 이제야 너와 함께 『시경』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구나!” |
告諸往而知來者也 | 고제왕이지래자야 | “과거를 들려주면 미래를 짐작할 줄 아는 자다” |
→ 또는: “과거를 통해 미래를 알 수 있음을 아는 자다” |
🧠 전체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자공아, 이제야 네가 『시경』의 참뜻을 이해했구나.
『시경』은 과거를 비추어 미래를 알게 하는 책이니라.”
📌 의미와 해설
-
“시가여언 시이의(詩可以言矣)”:
자공이 『시경』 구절을 적절히 인용하여 공자의 사상을 이해했음을 보여줌 → 공자가 감탄하며 칭찬 -
“고제왕이지래(告諸往而知來)”:
『시경』은 옛일을 통해 미래의 도리를 헤아릴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는 유교의 문학관을 표현
✅ 핵심 사상 요약
주제 | 내용 |
---|---|
문학의 기능 | 『시경』은 단순한 노래 모음이 아닌, 도덕과 정서 수양의 매개체 |
교육의 이상 | 지나간 것을 통해 미래를 아는 것이 진정한 학문의 목적 |
제자의 성숙 | 자공이 처음으로 스승의 뜻을 『시경』을 통해 스스로 이해함 → 공자의 깊은 만족 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