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이] 의도하지 말라

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夫子之得之也,固之也。夫子之求之也,其諸異乎人之求之與

부자 온양공검양이득지 부자지구지아 기제이호인지구지여

📘 문장 해석

원문 구절 해석
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 선생님(공자)은 따뜻하고, 어질고, 공손하고, 검소하며, 사양하는 미덕으로 그것(덕, 명성 등)을 얻으셨다.
夫子之求之也 선생님이 그것을 구하는 방식은
其諸異乎人之求之與? 보통 사람들이 구하는 방식과는 다르지 않겠는가?

🧠 전체 현대어 해석:

자공이 말하였다:
“우리 스승님은 따뜻함, 어짐, 공손함, 검소함, 사양함을 통해 명성을 얻으셨습니다.
스승님께서 그것을 추구하는 방식은, 일반 사람들이 추구하는 방식과는 분명히 달랐을 것입니다.”


📌 핵심 사상 요약:

  • 공자는 명예나 덕권모술수나 경쟁으로 얻지 않고,
    **도덕적 인격(溫良恭儉讓)**으로 자연스럽게 인정받음

  • 제자 자공은 이를 높이 평가하며, 공자의 추구 방식이 보통 사람과 다르다고 느꼈음

  • 유가의 핵심 인물로서 공자는 군자의 삶은 내면의 덕에서 비롯된다는 본보기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