禮之用,和爲貴。先王之道斯爲美,小大由之。有所不行,知和而和,不以禮節之,亦不可行也
예지용 화위귀 선왕지도 사위미 소대유지 유소불행 지화이화 불이례절지 역불가행야
📘 구절별 해석
한문 | 독음 | 해석 |
---|---|---|
禮之用,和爲貴 | 예지용 화위귀 | 예(禮)의 쓰임에 있어서는 조화로움을 가장 귀하게 여긴다 |
先王之道,斯爲美,小大由之 | 선왕지도 사위미 소대유지 | 옛 성왕들의 도(道)가 이것을 아름답게 여겼으며, 크고 작은 일이 모두 여기에 따랐다 |
有所不行,知和而和,不以禮節之,亦不可行也 | 유소불행 지화이화 불이례절지 역불가행야 | 그러나 조화를 안다고 하여 무조건 조화를 따르기만 하고, 예로 절제하지 않으면 그것 또한 실행할 수 없다 |
🧠 전체 현대어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예의 실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화로움(和)’이다.
옛 성왕들도 이 조화를 아름답게 여겼고, 모든 일에 이를 따랐다.
하지만 조화를 알고 조화롭게 하더라도,
‘예’로 그것을 절제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진정한 조화라 할 수 없으며,
그러한 행위는 결국 옳게 실현될 수 없다.”
📌 핵심 사상 요약
개념 | 설명 |
---|---|
禮(예) | 사회 질서와 관계를 조절하는 규범과 절도 |
和(화) | 감정과 관계의 조화, 부드러움, 균형 |
예로 절제되지 않은 화는 참된 화가 아니다 | 조화만 추구하고 원칙이 없으면 무질서가 됨 |
🔍 즉, 유교에서 ‘예’는 단순한 형식이 아닌 도덕과 질서의 기준이며,
그 내용은 조화롭되, 형식은 엄격해야 한다는 균형을 강조하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