樊遲御 子告之曰:「孟孫問孝於我,我對曰:『無違。』」
번지어 자고지왈 맹손 문효어아 아대왈 무위
📖 한자어 구절 풀이
-
樊遲御(번지어): 번지가 수레를 몰고 있었다.
-
子告之曰(자고지왈): 공자가 그에게 말씀하셨다.
-
孟孫問孝於我(맹손문효어아): 맹손(=맹의자)이 나에게 효에 대해 물었고,
-
我對曰 無違(아대왈 무위): 내가 대답하기를 “무위(無違)”라고 하였다.
🇰🇷 현대어 번역
번지가 수레를 몰고 있을 때, 공자가 그에게 말씀하셨다:
“맹손이 나에게 ‘효’에 대해 물었고, 나는 ‘무위(無違)’라고 대답했다.”
🔍 해설 및 의미
이 구절은 앞서 나온 공자의 “무위(無違)” — 예(禮)를 어기지 않음이 효의 핵심이다 — 라는 대답을 다시 한번 제자에게 직접 설명하는 장면입니다.
-
공자는 제자들과 대화하며 자신의 가르침을 반복, 내면화하도록 유도했으며
-
이 장면은 공자가 **번지(樊遲)**에게 ‘효’에 대한 자신의 답변 내용을 다시 강조하는 교육 장면입니다.
즉, 효란 단순한 감정적 공경이 아니라, **예에 맞는 태도와 실천(특히 부모에 대한 예의와 절차)**임을 누차 강조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위정편 제6장 |
등장인물 | 공자, 번지(수레를 모는 중), 맹의자 |
핵심 내용 | 효(孝)는 ‘무위(無違)’ — 예법을 어기지 않는 것이 본질이다 |
교육적 의미 | 제자에게 자신의 가르침을 반복하여 내면화시키는 공자의 교육 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