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정] 진정한 용기

非其鬼而祭之,諂也;見義不為,無勇也。

비기귀이제지 첨야 견의불위 무용야

📖 한자어 해석

구절 해석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非其鬼而祭之(비기귀이제지) 자기와 관계없는 귀신을 제사 지낸다면,
諂也(첨야) 이는 아첨하는 것이다.
見義不為(견의불위) 옳음을 보고도 행하지 않으면
無勇也(무용야) 이는 용기가 없는 것이다.

🇰🇷 현대어 번역

공자가 말씀하셨다:
자기 조상이 아닌 귀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은 아첨하는 것이며,
마땅히 해야 할 옳은 일을 보고도 하지 않는 것은 진정 용기가 없는 것이다.


🔍 의미 해설

이 짧은 문장 속에는 두 가지 도덕적 경계가 들어 있습니다:

1. 비기귀이제지 = 첨야 (아첨의 경계)

  • 자기 조상이 아닌 남의 귀신에게 제사 지내는 행위
    겉으로는 공손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이익을 위한 아첨이라는 의미입니다.

  • 형식적 외식(外飾)과 위선을 경계

2. 견의불위 = 무용야 (진짜 용기의 기준)

  • 옳음을 보았을 때 행동하지 않으면,
    겉으론 겁이 없어 보여도 그것은 진정한 용기 없음이라는 뜻입니다.

  • → 용기는 단순히 두려움 없음이 아니라, 정의를 실천하는 행동력


✅ 핵심 요약

항목 내용
출처 『논어』 위령공편 제15장
주제 아첨과 용기의 진짜 기준
공자의 경계 ① 남의 귀신을 섬기는 것은 아첨이다 (형식적 신앙 ×)
공자의 경계 ② 옳음을 보고도 행하지 않는 것은 용기 없음이다
핵심 메시지 진정한 도덕성과 용기는 올바름을 보고 행동하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