哀公問曰:「何爲則民服?」
孔子對曰:「舉直錯諸枉,則民服;舉枉錯諸直,則民不服。」
애공문왈 하위즉민복 공자대왈 거직조저왕즉민복 거왕조저직즉민불복
📖 한자어 구절 해석
구절 | 해석 |
---|---|
哀公問曰(애공문왈) | 애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
「何爲則民服?」(하위즉민복) | “어떻게 해야 백성들이 복종(신뢰)하겠는가?” |
孔子對曰(공자대왈) | 공자가 대답하였다: |
「舉直錯諸枉(거직조저왕) |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고, |
則民服(즉민복) | 그러면 백성은 따르게 됩니다. |
舉枉錯諸直(거왕조저직) | 반대로, 굽은 사람을 들어 정직한 사람 위에 두면 |
則民不服(즉민불복) | 백성은 복종하지 않게 됩니다.” |
🇰🇷 현대어 번역
노나라 애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어떻게 해야 백성들이 따르겠습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여 굽은 사람 위에 두면 백성이 따를 것입니다.
반대로 굽은 사람을 쓰고 정직한 사람을 그 아래에 두면,
백성은 절대 따르지 않을 것입니다.”
🔍 의미 해설
이 구절은 공자가 공정한 인사(人事)와 리더십의 기준은 ‘정직’에 있다고 강조한 것입니다.
표현 | 의미 |
---|---|
거직(舉直) | 정직한 사람을 등용함 |
조저왕(錯諸枉) | 왜곡된(부정직한) 사람보다 위에 둠 |
민복(民服) | 백성은 공정성을 보고 따름 |
거왕(舉枉) | 부정직한 사람을 등용함 |
조저직(錯諸直) | 정직한 사람 위에 둠 → 백성의 신뢰 상실 |
공자는 정치에서의 도덕성과 인사 정의가 백성의 **신뢰(服)**를 얻는 핵심 조건임을 말합니다.
이는 오늘날의 공정한 리더십, 인재 등용, 조직의 신뢰 구축에도 깊은 함의를 가집니다.
✅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위정편 제19장 |
질문자 | 애공(노나라 임금) |
공자의 대답 | 정직한 자를 등용하면 백성이 따른다. |
핵심 교훈 | 공정한 인사와 정직한 리더십이 민심을 얻는 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