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張問「十世可知也?」
子曰:「殷因於夏禮,所損益可知也;周因於殷禮,所損益可知也。其或繼周者,雖百世,可知也。」
자장문 십세 가지야 자왈 은인어하례 소손익 가지야 주인어은례 소손익 가지야 기혹계주자 수백세 가지야
📖 한자어 해석
구절 | 해석 |
---|---|
子張問 十世可知也?(자장문 십세 가지야) | 자장이 “열 대 이후(십세)의 일을 알 수 있습니까?”라고 묻자, |
子曰(자왈) | 공자가 말씀하시길, |
殷因於夏禮(은인어하례) | “은(商)나라는 하(夏)나라의 예를 계승했고, |
所損益 可知也(소손익 가지야) | 그 중 덜고 보탠 부분은 알 수 있다. |
周因於殷禮(주인어은례) | 주(周)나라는 은나라의 예를 따랐고, |
所損益 可知也(소손익 가지야) | 역시 덜고 보탠 것은 알 수 있다. |
其或繼周者(기혹계주자) | 훗날 주나라를 계승하는 자가 있다면, |
雖百世 可知也(수백세 가지야) | 비록 백세(수백 년 후)일지라도 예측할 수 있다.” |
🇰🇷 현대어 번역
자장이 공자에게 물었다:
“선생님, 앞으로 열 대(십세) 후의 일도 알 수 있습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은나라는 하나라의 예를 계승하면서 덜고 보탠 것이 분명히 보이고,
주나라도 은나라의 예를 계승하면서 덜고 보탠 것이 분명히 보인다.
그러니 주나라 이후에 나올 나라도, 설령 백 대 후일지라도 그 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
🔍 의미 해설
이 구절은 역사·제도·문명의 연속성과 예측 가능성에 대한 공자의 통찰입니다.
요소 | 의미 |
---|---|
因禮(인의) | 새로운 왕조는 이전 왕조의 예(제도)를 계승하고, |
損益(손익) | 그에 맞게 조금씩 변화시켜 간다 |
백세라도 가지야 | 이러한 패턴과 원칙을 안다면, 훗날의 일도 충분히 알 수 있다 |
공자는 단순한 예언이 아니라, 역사의 흐름과 제도의 변화에는 도리(道理)와 원칙이 있으며, 이를 통찰하는 것이 군자의 안목임을 말한 것입니다.
✅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안연편 제13장 |
질문자 | 자장(子張) – “십세 후의 미래도 알 수 있는가?” |
공자의 답 | “예(禮)의 흐름과 변화의 원리를 알면, 백세 후라도 알 수 있다.” |
교훈 | 역사와 문명의 변화는 무질서가 아니라, 도리에 따른 연속적 흐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