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而無信,不知其可也。大車無輗,小車無軏,其何以行之哉
인이무신 부지기가야 대거무예 소거무월 기하이행지재
📖 한자어 해석
구절 | 해석 |
---|---|
子曰(자왈) | 공자가 말씀하셨다: |
人而無信(인이무신) | 사람이 **신뢰(믿음)**가 없으면 |
不知其可也(부지기가야) | 그가 어떤 존재로 가능한지 알 수 없다. |
大車無輗(대거무예) | 큰 수레에 **예(輗, 앞뒤 멍에 연결 고리)**가 없고 |
小車無軏(소거무월) | 작은 수레에 **월(軏, 가로대 양 끝 고정 철물)**이 없으면 |
其何以行之哉(기하이행지재) | 그 수레가 어떻게 움직일 수 있겠는가? |
🇰🇷 현대어 번역
공자가 말씀하셨다:
“사람이 신뢰가 없다면, 그 사람을 어떻게 쓸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큰 수레에 멍에를 고정하는 쇠가 없고,
작은 수레에 바퀴축을 고정하는 장치가 없다면,
어떻게 수레가 제대로 굴러갈 수 있겠는가?”
🔍 의미 해설
이 구절은 공자가 **신(信, 신뢰)**의 중요성을 비유적으로 설명한 말씀입니다.
표현 | 의미 |
---|---|
무신(無信) | 사람이 신뢰가 없으면 사회적, 도덕적 기능을 상실함 |
대거무예 / 소거무월 | 수레의 핵심 연결 부품이 없으면 작동 불가 |
기하이행지재 | 그런 수레는 움직일 수 없듯, |
신뢰 없는 사람도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없다 |
공자는 “신뢰”를 인간관계, 사회, 정치, 도덕의 기초 기반으로 보았습니다.
신뢰 없는 사람은 겉보기엔 멀쩡할지라도, 실제로는 기능하지 않는 수레와 같다는 뜻입니다.
✅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안연편 제22장 |
주제 | **신뢰(信)**의 중요성 |
핵심 비유 | 신뢰 없는 사람 = 고정장치 없는 수레 → 쓸 수 없음 |
교훈 | 신뢰는 인간됨의 근본 조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