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而不思則罔,思而不學則殆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 한자어 해석
구절 | 해석 |
---|---|
子曰(자왈) | 공자가 말씀하셨다. |
學而不思則罔(학이불사즉망) |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미혹하게 된다. |
思而不學則殆(사이불학즉태) |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
🇰🇷 현대어 번역
공자가 말씀하셨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어리석게 되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로워진다.”
🔍 의미 해설
이 구절은 공자가 **‘학문과 사유의 균형’**을 강조한 말로, 매우 중요한 교육 철학입니다.
항목 | 설명 |
---|---|
學(학) | 타인의 지식, 책, 교훈 등을 받아들이는 것 (수동적 측면) |
思(사) | 스스로 사고하고 성찰하며 분석하는 것 (능동적 측면) |
罔(망) | 미혹함, 판단이 흐려짐 |
殆(태) | 위태로움, 잘못된 판단과 위험 |
공자는 “지식을 받아들이는 것(學)”과 “자기 스스로의 사고(思)”를 함께 하지 않으면 참된 이해에 도달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위정편 제16장 |
주제 | 배움과 사고의 조화 |
메시지 | 배우되 생각하고, 생각하되 배우라. 이 둘이 균형을 이뤄야 진정한 지혜에 도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