季康子問:「使民敬、忠以勸,如之何?」
子曰:「臨之以莊,則敬;孝慈,則忠;舉善而教不能,則勸。」
계강자문 사민경충이권 여지하 자왈 임지이장즉경 효자즉충 거선이교불능즉권
📖 한자어 해석
문장 | 해석 |
---|---|
季康子問(계강자문) | 계강자가 물었다: |
「使民敬忠以勸,如之何?」(사민경충이권 여지하) | “백성으로 하여금 공경하고 충성하며 힘쓰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
子曰 臨之以莊 則敬(자왈 임지이장 즉경) | 공자가 말하였다: “위엄 있게 다스리면 백성이 공경하고, |
孝慈 則忠(효자즉충) | 자신이 효도하고 인자하면 백성이 충성하며, |
舉善而教不能 則勸(거선이교불능 즉권) | 선한 사람을 등용하고 못하는 사람을 가르치면 백성이 스스로 힘쓴다.” |
🇰🇷 현대어 번역
계강자가 공자에게 물었다:
“백성들이 공경하고 충성하며 힘쓰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위엄을 갖추어 다스리면 백성은 공경하고,
효도하고 인자하면 백성은 충성하며,
선한 이를 등용하고 못하는 이를 가르치면 백성은 자발적으로 노력하게 됩니다.”
🔍 의미 해설
공자는 통치자가 백성을 다스리는 방법으로 세 가지를 제시합니다:
항목 | 의미 |
---|---|
莊(장) | 장엄하고 위엄 있는 태도로 다스리면 → 백성의 공경심 유도 |
孝慈(효자) | 통치자가 효도하고 자애로운 인품을 보이면 → 백성의 충성 유도 |
舉善教不能(거선 교불능) | 유능한 사람을 등용하고 부족한 사람은 가르치면 → 백성이 스스로 노력(勸) |
공자의 사상은 통치자가 모범을 보이고, 도덕적 품성을 갖추며, 공정한 인사와 교육을 통해 백성을 이끈다는 데 있습니다.
✅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위정편 제20장 (마지막 장) |
질문자 | 계강자 (노나라 실권자) |
주제 | 백성을 공경하고 충성하게 만들려면? |
공자의 답변 |
-
위엄 있게 대하면 공경
-
효자이자 인자하면 충성
-
선한 이를 쓰고 못한 이를 가르치면 노력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