吾與回言終日,不違,如愚。退而省其私,亦足以發。回也不愚。
오여회 언종일 불위여우 퇴이성기사 역족이발 회야불우
📖 한자어 구절 해석
원문 | 해석 |
---|---|
吾與回言終日 不違 如愚 | 내가 안회와 하루 종일 말을 나누어도, 그는 한 마디도 반박하지 않아 마치 어리석은 사람 같다. |
退而省其私 亦足以發 | 그러나 물러난 뒤 그가 사사로운 생각을 살펴보면, 내 말의 뜻을 충분히 잘 이해하고 있다. |
回也不愚 | 회는 결코 어리석지 않다. |
🇰🇷 현대어 번역
공자가 말씀하셨다.
“내가 안회와 하루 종일 이야기를 나누어도, 그는 내 말에 반대하거나 벗어나는 일이 없으니, 언뜻 보기엔 어리석어 보인다.
하지만 물러나 그의 사적인 행동과 생각을 살펴보면,
그는 내 말을 충분히 잘 이해하고 있으며 스스로 그것을 펼치고 있다.
안회는 결코 어리석지 않다.”
🔍 의미 해설
이 구절은 공자가 제자인 **안회(顔回)**의 덕성과 학문 태도를 극찬하는 장면입니다.
포인트 | 설명 |
---|---|
겉으로 보기엔 어리석어 보임 | 스승의 말을 반박하지 않고 항상 묵묵히 듣기 때문 |
실제로는 매우 깊이 이해함 | 말없이 실천하고, 말보다 행동과 성찰에 집중함 |
공자의 평가 | “진정한 지혜자는 말보다 실천이 앞선 사람”이라는 철학이 반영됨 |
공자는 겸손하고 조용하지만 깊이 이해하고 실천하는 사람을 진짜 지혜로운 제자로 보았고, 그 대표가 바로 안회였습니다.
✅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위정편 제11장 |
인물 | 공자, 안회(顔回) |
공자의 평가 | 안회는 겉으로는 과묵하지만, 말없이 깊이 이해하고 실천하는 참된 제자 |
메시지 | 말보다 실천, 겸손한 태도가 진정한 지혜자의 모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