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而衆星共之
위정이덕 비여북신 거기소이중성공지
📖 한자어 해석
-
爲政以德(위정이덕): 정치를 덕으로 행한다면
-
譬如北辰(비여북신): 이는 마치 북극성과 같으니
-
居其所(거기소): 그 자리에 가만히 있어도
-
而衆星共之(이중성공지): 많은 별들이 그것을 중심으로 운행한다
🇰🇷 현대어 번역
정치를 덕으로 하면, 이는 마치 북극성과 같아서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아도 수많은 별들이 그를 중심으로 돈다.
🔍 의미 풀이
공자는 정치의 본질은 **권력이나 형벌이 아니라 ‘덕(德)’**에 있다고 강조합니다.
-
**군주(또는 지도자)**가 덕을 갖추고 있으면, 스스로 명령을 내리거나 억지로 움직이지 않아도
-
**백성(혹은 구성원)**들은 자발적으로 중심을 따르게 된다는 것입니다.
-
‘북극성’은 하늘의 중심으로, 고대에는 별자리를 움직이는 기준이었으며, 이를 통해 지도자의 덕은 중심이 되는 힘이라는 점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 핵심 요점 정리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위정편 제1장 |
주요 사상 | 정치는 덕으로 해야 한다 |
비유 | 덕 있는 정치는 북극성과 같아서 중심이 된다 |
메시지 | 덕은 권력보다 강력한 통치 기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