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周而不比,小人比而不周
군자 주이불비 소인 비이부주
📖 한자어 해석
구절 | 해석 |
---|---|
子曰(자왈) | 공자가 말씀하셨다. |
君子周而不比(군자 주이불비) | 군자는 널리 두루 사귀되, 사사로운 패거리를 만들지 않는다. |
小人比而不周(소인 비이부주) | 소인은 좁은 이익을 따라 패거리를 짓되, 널리 포용하지 않는다. |
🇰🇷 현대어 번역
공자가 말씀하셨다:
“군자는 널리 조화롭게 어울리되, 사사로이 편을 가르지 않으며,
소인은 편을 가르되 널리 어울리지 않는다.”
🔍 의미 해설
이 구절은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의 인간관계 태도를 비교합니다.
개념 | 의미 |
---|---|
周(주) | 두루, 공평하게 어울림 — 전체적인 조화와 포용 |
比(비) | 패거리, 사사로운 이해관계 중심의 연합 |
군자 | 편을 가르지 않고 누구와도 두루 사귀며 덕을 나눔 |
소인 | 사사로운 이익에 따라 뭉치며, 진정한 포용은 없음 |
공자는 인간관계를 공정하고 도덕적으로 형성해야 함을 강조하며,
‘우리 편’만 챙기는 이기적인 태도는 군자의 도가 아니라고 경계합니다.
✅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옹야편 제25장 |
군자의 태도 | 두루 포용하되 사사롭지 않음 |
소인의 태도 | 패거리 지향하되 진정한 조화 없음 |
핵심 메시지 | 진정한 리더는 공정함과 포용성을 갖춘 사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