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游問孝。子曰:「今之孝者,是謂能養。至於犬馬,皆能有養;不敬,何以別乎?」
자유 문효 자왈 금지효자 시위능양 지어견마 개능유양 불경 하이별호
📖 한자어 해석
-
子游問孝(자유 문효): 자유가 효에 대해 물었다
-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
今之孝者(금지효자): 지금 사람들이 말하는 효는
-
是謂能養(시위능양): 다만 ‘부모를 부양하는 것’이라 여기지만
-
至於犬馬 皆能有養(지어견마 개능유양): 개나 말도 다 기를 수 있다
-
不敬 何以別乎(불경 하이별호): 공경함이 없다면, 무엇으로 차별되겠는가?
🇰🇷 현대어 번역
자유가 공자에게 “효란 무엇입니까?” 하고 묻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요즘 사람들이 말하는 효란 부모를 잘 모시는 것이라 하지만,
개나 말도 잘만 기르면 기르는 것이다.
공경하는 마음이 없다면, 무엇으로 그것들과 구별하겠는가?”
🔍 의미 해설
이 구절은 공자가 ‘형식적 효도’만 중시하는 태도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
핵심 개념 | 설명 |
---|---|
형식적 효 | 부모에게 음식이나 물질을 제공하는 것에만 그침 |
진정한 효 | **공경(敬)**하는 마음과 태도가 바탕이 되어야 함 |
견마 비유 | 단순한 부양만 한다면 짐승도 할 수 있다 → 사람다운 효는 마음에 있음 |
공자는 효도를 단순한 경제적 공급이나 의무가 아니라,
존경과 사랑이 담긴 실천으로 보았으며, 그 핵심이 바로 **‘경(敬, 공경)’**이라 본 것입니다.
✅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출처 | 『논어』 위정편 제9장 |
질문자 | 자유(子游) |
공자의 요지 | 물질적 부양보다 중요한 것은 ‘공경심’ |
핵심 메시지 | 진정한 효도는 부모를 존중하고 마음에서 우러나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