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공] 아무리 싸워도 위태롭지 않은 비결

知彼知己,百戰不殆

지피지기 백전불태

📖 해석:

  • 知彼知己
    적을 알고 나를 알면

  • 百戰不殆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 현대어 의역: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 출처 및 의미:

이 문장은 『손자병법(孫子兵法)』 제3편 「謀攻篇(모공편)」에 나오는 병법의 핵심 원칙 중 하나입니다.

▶ 의미 분석:

  • 知彼(지피): 적의 상황, 능력, 전략, 성격 등을 아는 것

  • 知己(지기): 자신의 강점과 약점, 군대의 상태와 자원을 아는 것

  • 不殆(불태): 위태롭지 않다, 즉 지지 않는다, 패하지 않는다


📚 확장된 문장 (원문 전체):

知彼知己,百戰不殆;不知彼而知己,一勝一負;不知彼,不知己,每戰必殆。

🔍 해석:

  •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고,

  • 적을 모르고 나만 알면 한 번 이기고 한 번 지며,

  • 적도 모르고 나도 모르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위태롭다.


✅ 현대적 적용 예시:

분야 적용 방식
경영 전략 경쟁사의 강점과 약점 분석 + 자사의 위치 파악
자기 계발 자신의 능력과 한계 인식 +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군사/정치 정보전의 중요성, 사전 탐지 및 대응 전략
인간관계 상대방의 성향 + 자기 인식 → 갈등 예방 및 협상 우위

[모공] 승리의 조건과 피터팬 신드롬

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
識衆寡之用者勝,
上下同欲者勝,
以虞待不虞者勝,
將能而君不御者勝。

지가이전여불가이전자승 식중마지용자승 상하동욕자승 이우대불우자승 승장능이군불어자승

📖 해석:

1. 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

→ 싸울 수 있는 때와 싸워서는 안 되는 때를 아는 자가 이긴다.

2. 識衆寡之用者勝

병력의 많고 적음을 운용할 줄 아는 자가 이긴다.
(즉, 병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적절히 운용할 줄 아는 자)

3. 上下同欲者勝

상하가 같은 뜻을 품고 일치된 마음을 가진 자가 이긴다.

4. 以虞待不虞者勝

준비된 자가 준비되지 않은 자를 기다리면 이긴다.
(기습보다도, 철저한 준비와 대비가 승리를 부른다는 뜻)

5. 將能而君不御者勝

장수가 유능한데 군주가 간섭하지 않는다면 이긴다.


💬 현대어 의역:

“싸울 수 있을 때와 없을 때를 아는 자가 이기고,
병력의 많고 적음을 적절히 운용할 줄 아는 자가 이기며,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마음을 함께한 자가 이기고,
준비된 자가 준비되지 않은 자를 기다릴 줄 아는 자가 이기며,
유능한 장수가 군주의 간섭 없이 전권을 행사할 수 있을 때 그 군대는 이긴다.”


🧠 전략적 의미:

이 구절은 손자병법의 가장 실용적인 “5가지 승리 조건”을 설명한 것입니다. 각 조건은 실제로 리더십, 조직운영, 기업 전략, 군사 작전 등에 모두 적용 가능합니다.

조건 핵심 의미 현대 응용 예
전쟁의 판단 싸워야 할 때와 피해야 할 때 구별 전략적 타이밍
병력 운용 인원 차이를 극복하는 효율적 배치 자원관리 능력
상하 일체 조직 내 소통과 공동 목표 팀워크와 기업문화
사전 준비 위기 대응과 리스크 관리 준비된 경영자
장수 존중 자율성과 위임 위임형 리더십

📚 요약:

이 문장은 손자의 전쟁 철학 중 “무작정 싸우는 것이 아니라, 이길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결국 지혜와 준비, 내부 통일, 리더십 존중이 있어야 전쟁이든 사업이든 승리할 수 있다는 전략 원칙입니다.


[모공] 군주 리스크 3가지

不知君之不可與進而與之進,
不知君之不可與退而與之退,
是謂縻軍。

不知三軍之事而同三軍之政者,則軍中惑矣。
不知三軍之權而同三軍之任者,則軍中疑矣。

부지군지불가이진 이위지진 부지군지불가이퇴 이위지퇴 시위미군 부지삼군지사 이동삼군지정자 즉군사혹의 부지삼군지원 이동삼군지임 즉군사의의

📖 해석:

🔹 1. 군주의 간섭이 병법을 어지럽힌다

  • 불지군지불가이진 이위지진
    → 군주가 나아가서는 안 될 상황을 알지 못하면서 나아가라 명령하면,

  • 불지군지불가이퇴 이위지퇴
    → 물러나서는 안 될 상황을 알지 못하면서 물러나라 명령하면,

  • 시위미군 (是謂縻軍)
    이를 ‘군대를 얽어매는 것’이라 한다. (지휘권을 방해하는 것)


🔹 2. 군의 일을 모르는 자가 간섭하면 혼란이 온다

  • 불지삼군지사 이동삼군지정자, 즉군사혹의
    삼군(전체 군대)의 사정을 알지 못하면서 군정(軍政)을 함께하면, 군대가 혼란에 빠지고,

  • 불지삼군지원 이동삼군지임자, 즉군사의의
    군의 권한과 책임을 알지 못하면서 그것을 함께 지면, 군대가 의심에 빠진다.


💬 현대어 의역:

“지휘자가 전장의 상황을 모른 채 나아가라, 물러나라 지시하면
군대를 망치게 되는 것이고,
군사의 일을 모르는 이가 작전과 군정을 간섭하면 군이 혼란스럽게 되며,
지휘권과 책임을 모르는 자가 군의 직책을 함께 맡으면
군의 사기가 떨어지고 의심이 생긴다.”


🧠 핵심 교훈:

이 구절은 **”군대는 현장 지휘관에게 맡겨야 하며, 위에서 함부로 간섭하면 안 된다”**는 손자의 병법 핵심입니다.

  • 장수(장군)는 전장에서 실시간 판단을 통해 진퇴(進退)를 결정해야 하며,

  • 군주의 정치적 개입은 오히려 병법과 군기를 망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 현대적 응용:

  • 기업 조직: 현장을 모르는 경영진이 실무를 지휘하면 혼란이 생긴다.

  • 정치와 군사: 정치 지도자가 군사 작전을 직접 좌지우지해서는 안 된다.

  • 전략 원칙: 권한과 책임은 일치해야 하며, 적재적소의 자율성이 핵심이다.

[모공] 군주와 장수의 역할 효율성

國之寶也,保主則國必強,保局則國必弱。

국지보야 보주즉국필강 보극즉국필약

📖 해석:

  • 國之寶也
    나라의 보배란, (국가를 지탱하는 중요한 원칙은)

  • 保主則國必強
    근본(主)을 지키면 나라는 반드시 강해지고,

  • 保局則國必弱
    지엽(局, 말단적 이익)만 지키면 나라는 반드시 약해진다.


💬 현대어 의역:

“국가의 보배는 그 근본을 지키는 데 있다.
본질을 지키면 국가는 반드시 강성해지고,
말단적인 이익만 고수하면 국가는 반드시 쇠약해진다.”


🧠 해설:

  • **“保主”**는 근본(根本), 도리, 원칙, 중심 가치를 지킨다는 뜻이며

  • **“保局”**은 일시적인 형세, 작은 계산, 외형적 구도에만 집착한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이러한 대조는 국가 운영뿐 아니라 개인의 삶, 조직 운영, 경영 전략 등에도 적용됩니다:

구분 보주(保主) 보국(保局)
의미 본질과 원칙 중심 형세·기교 중심
결과 장기적 강성, 지속성 단기적 이익, 장기적 쇠약
예시 도덕, 민심, 법치 권모술수, 외형 유지, 임기응변

📚 관련 고사/명언:

  • 本立而道生,本末倒置 (근본이 서야 도가 생기고, 근본과 말단이 바뀌면 혼란이 온다 – 『논어』)

  • 國無道不興,家無德不立 (나라에 도가 없으면 흥하지 못하고, 집에 덕이 없으면 서지 못한다)

[모공] 전력 차이에 따른 용병의 원칙

十則圍之,五則攻之,倍則分之,敵則能戰之,少則能逃之,不若則能避之。

십즉위지 오즉공지 배즉분지 적즉능전지 소즉능도지 불약즉능피지

📖 해석:

  • 十則圍之
    → 우리가 적보다 열 배 많으면 포위하라.

  • 五則攻之
    → 다섯 배 많으면 공격하라.

  • 倍則分之
    → 두 배면 적을 분산시켜라.

  • 敵則能戰之
    → 병력이 같으면 능히 싸울 수는 있다.

  • 少則能逃之
    → 우리가 적보다 적으면 피할 수 있어야 한다.

  • 不若則能避之
    → 상대가 더 강하면 피해야 한다.


💬 현대어 의역:

“적보다 열 배 많으면 포위하고,
다섯 배면 공격하고,
두 배면 나눠서 대응하고,
같으면 싸우고,
적으면 피하고,
형세가 못 미치면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 전략적 해설:

이 구절은 손자의 ‘형세론(形勢論)’, 즉 전쟁에서 상황에 따라 전략이 달라져야 함을 강조합니다.

  • 손자는 단순히 용맹하게 싸우는 것을 중요시하지 않았고,
    승산이 있는 상황에서만 싸우고, 그렇지 않으면 피하거나 우회하라유연한 전쟁관을 보여줍니다.

  • 이는 곧 병력의 수량뿐 아니라, 판단과 타이밍, 전략 운용의 융통성을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 응용:

이 원칙은 군사뿐만 아니라 경영 전략, 경쟁 분석, 협상 전술, 인간관계 등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

예:

  • 열세일 때 무리하게 정면 대응하지 마라.

  • 형세가 우세할 때만 정면 승부하라.

  • 유리한 조건일 때만 싸우고, 불리하면 과감히 피하라.

[모공] 공략에도 순서가 있다

上兵伐謀,其次伐交,其次伐兵,其下攻城

상병벌모 기차벌교 기차벌병 기하공성

📖 해석:

  • 上兵伐謀
    → 최고의 전략은 적의 계책(모략)을 꺾는 것이다.

  • 其次伐交
    → 그 다음은 적의 외교(동맹 관계)를 차단하는 것이다.

  • 其次伐兵
    → 그 다음은 적의 군대를 공격하는 것이다.

  • 其下攻城
    가장 하책은 성(城)을 공격하는 것이다.


💬 현대어 의역:

“최상의 전쟁은 적의 계략을 무너뜨리는 것이고,
그다음은 적의 외교 관계를 끊는 것이며,
그 다음은 군대를 치는 것이고,
가장 좋지 못한 방법은 성을 공격하는 것이다.”


🧠 풀이:

이 구절은 손자의 전략적 전쟁관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목 중 하나입니다.

  1. 모(謀)를 먼저 꺾는다는 것은 — 싸우기 전에 적의 계획과 전략 자체를 무력화시키는 것.

    ▶ 정보전, 기만전, 심리전 등으로 적의 의지를 약화시킴.

  2. 외교를 차단한다는 것은 — 적의 연합을 분열시켜 고립무원으로 만든다는 의미.

    ▶ 현대적 의미에선 외교·협상력도 해당.

  3. 병력과 정면 충돌은 피할 수 없을 때 하는 것.

  4. 공성전은 가장 위험하고 비용이 큰 방식이기 때문에 최하책으로 여겨짐.


📚 핵심 교훈: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가장 뛰어난 병법이다.
(→ “不戰而屈人之兵,善之善者也.” 와 연결됨)

[모공] 그릿 지수를 높여라

百戰百勝,非善之善者也;不戰而屈人之兵,善之善者也。

백전백승 비선지선자야 부전이굴인지병 선지선자야

📖 해석:

  • 百戰百勝,非善之善者也
    → 백 번 싸워 백 번 이긴다고 해서 최고로 잘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 不戰而屈人之兵,善之善者也
    싸우지 않고도 적을 굴복시키는 것,
    그것이야말로 최상의 지혜이고, 가장 뛰어난 전략이다.


💬 현대어 의역:

“백 번 싸워 백 번 이긴다 해도 그것은 최선은 아니다.
진정한 최선은 싸우지 않고도 적을 굴복시키는 것이다.”


🧠 풀이:

  • 손자는 단순히 군사적 승리만을 추구하지 않았습니다.

  • 전쟁의 비용, 희생, 자원 낭비 등을 고려할 때,
    싸움 없이 승리하는 것(즉 외교, 심리전, 전략적 압박 등)이 더 탁월하다고 봤습니다.

  • 이 구절은 현대의 외교, 경영, 협상 전략에도 널리 응용되는 병법의 명언입니다.


📚 실생활 응용 예:

  • 기업 경영: 경쟁사와 무의미한 가격 경쟁을 하기보다, 브랜드 이미지나 혁신으로 시장 우위를 점하는 것이 더 지혜롭다.

  • 정치·외교: 무력 충돌 대신 외교·심리전으로 상대의 의지를 꺾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인간관계: 정면 충돌보다 설득, 이해, 포용을 통한 갈등 해소가 더 높은 수준의 처신이다.


[모공] 최선은 싸움 없는 승리,전쟁은 차선일 뿐

凡用兵之法,戰國爲上,破國次之。

범용병지법 전국위상 파국차지

📖 해석:

  • 凡用兵之法
    → 무릇 전쟁을 쓰는(병법을 운용하는) 원칙은

  • 戰國爲上
    적국과 싸워 이기되, 그 나라를 온전히 보존하는 것이 가장 으뜸이고

  • 破國次之
    그 나라를 무너뜨리는 것은 그 다음이다.


💬 현대어 의역:

“전쟁의 법도란, 나라를 정복하되 멸망시키지 않고 보존하는 것이 최선이며,
어쩔 수 없을 때 그 나라를 파괴하는 것이 그 다음이다.”


🧠 출처 및 의미:

이 문장은 **『손자병법(孫子兵法)』 모공편(謀攻篇)**에서 나온 핵심 구절입니다.

  • 손자는 전쟁에서의 최고 경지는 파괴가 아닌 보존에 있다고 봅니다.

  • 무력을 쓰되, 가능하면 피해를 최소화하고, 나라와 백성을 보존하는 것이 진정한 전략가의 길이라고 말하죠.


📚 전체 문맥 (참고):

故上兵伐謀,其次伐交,其次伐兵,其下攻城。
凡用兵之法,戰國爲上,破國次之。

즉:

최고의 전쟁은 상대의 계책을 꺾는 것이고,
그 다음은 외교를 차단하는 것이며,
그 다음은 군대를 치는 것이고,
최하가 성을 공격하는 것이다.

전쟁을 하되, 적국을 보존하는 것이 상책이며, 멸망시키는 것은 차선이다.

[계선편] 악행은 끓는 물에 손을 넣는 것이다

見善如不及,見不善如探湯

견선여불급 견불선여탐탕

📖 해석:

  • 見善如不及
    → 선한 것을 보면 미치지 못할까 두려워하듯이 해야 하고,
    (선을 보면 따라가려 애써도 미치지 못하는 듯 간절히 추구하라.)

  • 見不善如探湯
    → 악한 것을 보면 끓는 물에 손을 넣는 것처럼 두려워하라.
    (악을 보면 가까이하지 말고 즉시 물러서야 한다.)


💬 현대어 의역:

“선을 보면 따라가지 못할까 조급히 여기고,
악을 보면 끓는 물을 만지듯이 무서워하라.”


🧠 풀이:

이 문장은 유가(儒家)의 실천적 도덕 태도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경구입니다.
『예기(禮記)』, 『논어(論語)』 등의 고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다음과 같은 뜻을 포함합니다:

  • 선은 간절히 갈망하고,

  • 악은 본능적으로 피하라는 교훈.

  • 수양과 경계, 즉 도덕적 감수성을 높이라는 의미입니다.


📚 유사 고사/명구:

  • “見義不為,無勇也” (의로운 일을 보고도 하지 않으면 용기가 없는 것이다 – 『논어』)

  • “見小利則大事不成,見小害則大德不立” (작은 이익을 보면 큰일을 이루지 못하고, 작은 해를 피하면 큰 덕을 세울 수 없다.)

[계선편] 화와 복은 내가 부른다

一日行善,福雖未至,禍自遠矣;一日行惡,禍雖未至,福自遠矣。

行善之人,如春園之草,不見其長,日有所增;
行惡之人,如磨刀之石,不見其損,日有所虧。

일일행선 복수미지 화자원의 일일행악 화수미지 복자원의 행선지인 여춘원지초 불견기장 일유소증 행악지인 여마도지석 불견기손 일유소휴

📖 해석:

🔹 1. 인과의 시작

  • 一日行善,福雖未至,禍自遠矣
    → 하루 선을 행하면, 비록 복은 아직 오지 않았더라도 재앙은 이미 멀어진다.

  • 一日行惡,禍雖未至,福自遠矣
    → 하루 악을 행하면, 비록 재앙은 아직 오지 않았더라도 복은 이미 멀어진다.


🔹 2. 선인의 결과 (행선지인)

  • 行善之人,如春園之草
    → 선을 행하는 사람은 마치 봄날의 동산의 풀과 같아

  • 不見其長,日有所增
    → 자라는 것이 눈에는 보이지 않아도, 날마다 자라난다.


🔹 3. 악인의 결과 (행악지인)

  • 行惡之人,如磨刀之石
    → 악을 행하는 사람은 마치 칼 가는 숫돌과 같아

  • 不見其損,日有所虧
    → 닳는 것이 눈에는 보이지 않아도, 날마다 줄어든다.


💬 현대어 의역:

“하루 선을 행하면 복이 아직 오지 않더라도 화는 멀어지고,
하루 악을 행하면 화가 아직 오지 않더라도 복은 이미 떠난다.
선을 행하는 사람은 봄 동산의 풀처럼 눈에 띄진 않지만 매일 자라고,
악을 행하는 사람은 숫돌처럼 겉으론 멀쩡하지만 조금씩 닳아간다.”


🧠 교훈 및 의미:

  • 선(善)은 서서히 복을 부르고,

  • 악(惡)은 천천히 재앙을 불러들인다.

  • 중요한 건 즉각적인 결과가 없더라도, 모든 행위는 누적되어 반드시 형상(形象)과 운명에 반영된다인과응보의 진리를 강조합니다.